본문 바로가기
IT/IT 용어

VPN(Virtual Private Network)를 잘 알고 사용하자.

by IT 과학정복 2024. 4. 17.
반응형

요즘에는 돈을 내거나 무료 VPN프로그램이 널리 퍼져 모바일이나 PC에서 VPN을 앱이나 프로그램형태로 이용합니다. 재밌는 통계가 있는데 VPN 서비스 제공업체 중 하나인 NordVPN은 전 세계적으로 VPN 사용 추세를 추적하기 위해 연례 설문조사를 실시하는데 가장 조사 결과에 따르면 미국, 영국, 캐나다 및 호주와 같은 국가에서 VPN에 대한 인식과 사용이 상당히 높게 나타났고, 단적으로 미국인 중 약 3분의 1이 VPN을 사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VPN이용자가 15억 명 이상이라는 조사결과( Top10VPN 통계)도 나올 정도로 VPN 사용률이 높아졌습니다.

 

 

이에 비해 한국에서는 'VPN의 뜻과 사용 중인지 물어보면 절반정도만 '알고 있다'라고 답변해, 아직도 VPN에 대한 인식이 주요 VPN사용국가 중에 낮은 편에 속합니다.
관련 기사 :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119868

 

가상사설망 VPN 사용실태 살펴보니... 알고 있는 한국인 55.5%, 그중 25.4%만 사용

전 세계 사람들에게 가상사설망(Virtual Private Network, VPN)의 사용 실태를 물었더니, 한국에서는 ‘VPN이 무엇인지 알고 있는지’라는 질문에 약 절반인 55.5%가 ‘그렇다’고 대답해 전 세계 18개국

www.boannews.com


그럼 이제 본론으로 VPN이 뭔데 사람들이 이토록 사용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VPN은 VirtualPrivateNetwork의 약자로, 가상사설망을 뜻합니다.
가상의 개인적인 네트워크(인터넷) 연결로
데이터를 안전하고 비공개로 전송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VPN의 원리

VPN은 일반적으로 암호화 및 터널링 두 가지 기술을 사용합니다.

  • 암호화는 데이터를 암호로 변환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기술이며,
  • 터널링은 데이터를 다른 데이터 내에 포장하여 전송하는 기술입니다.

이 두 가지 기술을 결합하여,
VPN은 암호화와 터널링을 통해 사용자의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네트워크 접속 위치를 가려주거나, 가상으로 네트워크를 이어주기도 합니다. VPN 통신은 중간에 네트워크를 누군가 가로채도 데이터가 암호화되어있고, 데이터가 포장되어 있기 때문에 훔친다 한들 내용을 보거나 사용할 수 없는 기술입니다.

VPN 연결 방식

1. 사이트 간 VPN (Site-to-Site VPN)

두 개의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회사의 본사와 지점을 연결하거나, 두 개의 기관 간의 통신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사이트 간 VPN은 일반적으로 기업이나 국가 기관들에서 사용합니다.
- 예 : 본사-(해외) 지사, 지사-(해외) 지사
- 네트워크, 정보보안, 인프라담당자들이 보통 관리합니다.

 

2. 클라이언트 - 서버 VPN (Client-to-Server VPN)

 

개인용 컴퓨터 또는 모바일장치와 VPN제공자의 서버를 연결하는 데 사용됩니다
클라이언트-서버 VPN은 개인이나 가정에서 사용됩니다.

VPN의 실제 사용 예

위치 변경 ( 클라이언트-서버 간 VPN )

1. 미국에 살고 있는 홍길동 씨는 한국 넷플릭스를 보고 싶습니다. 근데 넷플릭스를 들어가면 미국 넷플릭스 프로그램들이 나옵니다. 이럴 때! 사용하는 게 VPN입니다. 

2. 이건 제 회사에서 실제 있었던 일입니다. 저희는 출퇴근을 앱으로 하는데 어떤 직원이 집에서 VPN앱을 사용해서 회사 근처인냥 아침 6시에 출근을 찍어놓고 실제로는 출근하지 않는 사례가 있었습니다.

3. 해커나 나쁜 의도를 가진 사람이 본인의 위치나 국가를 숨기기 위해 VPN을 악용하는 사례도 있습니다.

 

재택근무 or 회사

1. 아까 위에서 설명한 사이트 간 VPN을 사용하면 본사와 해외 지사가 같은 네트워크에서 같은 통신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집에서 클라이언트-서버 간 VPN을 사용해서 집에서 회사의 네트워크 망을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외부직원에게 중요시스템을 접근할 수 있게 해 줄 때도 VPN을 사용합니다.

 

정보보안 강화

1. 국가 간이나 국가 안에서 안전한 정보교환이 필요할 때, 민감한 정보가 외부에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이트 간 VPN을 사용합니다.

2. 국가뿐 아니라 국제 은행망도 서로 금전 거래에 대한 정보를 주고받을 때 사이트 간 VPN을 사용합니다.

 

 

VPN의 장점

1. 개인정보보호 및 보안강화

  • 공용 Wi-Fi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경우
  • 정부나 기업의 감시로부터 보호하고 싶은 경우
  • 온라인에서 민감한 정보를 처리하는 경우

VPN은 내가 사용하는 PC의 인터넷 공인 IP를 외부에 드러내지 않게 할 수 있으므로
내 위치와 활동을 누군가 추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온라인에서 익명으로 활동할 수 있으며,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또한, VPN은 암호화 기능을 사용해 데이터 보호가 가능하므로,
침입자로부터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최근 AI 기반 공격을 해커가 이용하면서
백신 프로그램이나 보안탐지 도구를 회피하는 시도가 늘어났습니다.
이런 경우도 VPN을 사용해 보안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2. 제한된 지역에서 콘텐츠 이용 목적

 

“중국 5성급 호텔에선 페이스북·인스타 접속 불가입니다”[이슈픽]

“중국 호텔에서는 페이스북과 인스타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접속 할 수 없다” 사실일까? 중국 정부는 ‘만리방화벽’이라고 불리는 인터넷 감시·검열 시스템을 가동해 중국인들의 트

www.seoul.co.kr

 

 

 

'추가 회원 요금내라' 넷플릭스, 미국서 계정공유 금지 이메일 보냈다

계정공유 금지를 발표한 넷플릭스가 미국에서 넷플릭스 계정을 한 가구 내에서만 이용하도록 하겠다고 공지했다. 기존 계정에 같...

www.sedaily.com

 



VPN의 단점

 

1. 속도 저하

  • VPN은 데이터가 암호화되므로, 인터넷 속도가 약간 느릴 수 있습니다.
  • VPN은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통신일 경우, 서버가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으면 속도가 느려집니다.
  • VPN을 사용하기 전에 인터넷속도와 지역제한콘텐츠에 대한 액세스여부를 테스트해야 합니다.

2. 유료와 무료의 차이

  • VPN 서비스는 무료 또는 유료로 제공됩니다.
  • 유료 VPN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더 나은 성능과 기능을 제공합니다.
  • 무료 VPN은 유료보다 상대적으로 보안이 취약할 수 있습니다.
  • 무료 VPN은 사용 중에 광고가 많이 나올 수 있습니다.

3. 신뢰성

  • 일부 VPN 제공업체는 신뢰할 수 없을 수 있습니다.
  • VPN제공업체를 선택할 때는 평판과보 안 기능을 고려해야 합니다.

4. 호환성

  • 일부 VPN 서비스들은 컴퓨터나 기기에 따라 클라이언트가 지원되지 않거나,
  •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5. 취약할 수 있는 보안

  • VPN 서비스 제공 업체에 따라, 사용자의 트래픽을 로깅하거나 개인정보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침해당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 설명드린 것처럼 VPN은 여러 곳에서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는 도구입니다.
이처럼 VPN을 많이 사용하는 이유는 속도 저하, 추가 비용, 신뢰성 등의 단점도 존재하지만,
잘 사용하면 생활의 편리함과 활용도가 아주 높고, 안전한 장점이 아주 많기 때문입니다.


만약에 일반 사용자분들은 VPN을 사용하실 때 앱이나 프로그램으로 사용하실 텐데 사용하시기 전에 꼭 해당 프로그램이 불법이 아닌지 확인하시고 평판이 좋은 프로그램을 쓰시길 바라며, VPN 장비를 다루시거나 관리하시는 담당자분께서도 평판과 점유율이 높은 VPN 장비를 도입하셔서 잘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