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IT 용어

포트(port) 란?

by IT 과학정복 2024. 1. 21.
반응형

네트워크에서 포트란 무엇일까?

IT나 컴퓨터 전공자라면 포트라는 단어가 익숙하겠지만,

일반인들은 포트가 무엇이냐 물어보면

"커피포트? 포트가 뭐야?" 정도로 답하기가 애매합니다.

 

포트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드리면,

반응형

 

데이터 편지

포트 우편번호

비유하여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 데이터 = 편지
  • 포트 = 우편번호

우리가 편지를 보낼 때, 편지는 우편 번호에 따라서 각기 다른 곳으로 배달됩니다.

이 우편 번호가 없다면, 편지는 올바른 곳으로 배달이 안됩니다.
컴퓨터의 경우,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받을 때, 이 데이터는 '편지'와 같습니다.

그리고 이 '편지'는 '우편 번호'인 '포트 번호'에 따라서 각기 다른 목적지로 가게 됩니다.


예시로 웹사이트를 보려면 80번 '우편 번호'로 가고,

이메일을 받으려면 25번 '우편 번호'로 가는 것입니다. 

 

이렇게 '포트'는 각 정보가 어떤 프로그램으로 가야 하는지를 결정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런 방식으로 컴퓨터는 원하는 정보만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그래서 컴퓨터는 '포트'를 통해 어떤 종류의 정보를 받을지 결정하고, 

그 정보를 올바른 '포트'로 안내하게 됩니다. 

이렇게 하면 컴퓨터는 원하는 정보만 받을 수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네트워크 포트의 역할입니다.

 

 

인터넷에서 포트는 사람들이 중구난방으로 사용하지 않고,

서로 약속된 번호로 사용하도록 정하고 관리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기관이

국제인터넷주소관리기구(Internet Corporation for Assigned Names and Numbers, ICANN)이며,

ICANN는 인터넷에서 각 컴퓨터나 서비스를 쉽게 구분하기 위해서 포트에 번호를 부여하고 관리합니다.

 

  • 잘 알려진 포트 (Well-Known Ports)  : 0 ~ 1023
  • 등록된 포트 (Registered Ports) : 1024 ~ 49151
  • 동적 또는 개인 포트 (Dynamic or Private Ports) : 49152 ~ 65535

 

포트 번호는 0에서 65535까지 할당합니다. 

0에서 1023까지의 포트 번호는 well-known ports라고 하며, 

특정 프로토콜이나 서비스에 할당됩니다. 

이 포트 번호는 표준적으로 사용되는 포트 번호로

예를 들어, HTTP는 포트 80, HTTPS는 포트 443, FTP는 포트 21에 할당되어 있습니다.


1024에서 49151까지의 포트 번호는 registered ports라고 하며, 

특정 프로토콜이나 서비스에 할당될 수도 있고, 자유롭게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49152에서 65535까지의 포트 번호는 dynamic ports라고 하며, 

클라이언트가 임시로 사용하기 위해 할당받는 포트 번호입니다.

예를 들어, FTP를 사용하여 파일을 전송할 때, 

클라이언트는 임시로 포트 번호를 할당받아 파일을 전송합니다.

 

 

실무에서도 가장 많이 사용하는 잘 알려진 포트 (Well-Known Ports) 

포트 번호 프로토콜 서비스
80 HTTP 웹 브라우징
443 HTTPS 암호화된 웹 브라우징
21 FTP 파일 전송
25 SMTP 이메일 전송
139 SMB 파일 공유
445 SMB 파일 공유

 

포트의 필요성

포트는 본래 시스템끼리 통신할 때 물리적 선은 하나지만

여러 응용 프로그램들이 서로 나눠서 사용하기 위해 포트라는 개념이 도입되었습니다.

각 응용 프로그램은 데이터를 전송할 때 서로 다른 포트를 사용합니다.

이렇게 하면, 한 컴퓨터에 여러 개의 응용 프로그램이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와 메일 프로그램이 동시에 실행되고 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웹 브라우저에서 웹 페이지를 열고, 메일 프로그램에서 이메일을 보내면,

두 응용 프로그램은 모두 데이터를 전송해야 합니다.

하지만 컴퓨터에는 물리적인 선이 하나밖에 없기 때문에,

두 응용 프로그램은 서로 다른 포트를 사용해야 합니다.

 

웹 브라우저는 포트 80을 사용하고,

메일 프로그램은 포트 25를 사용한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이렇게 하면, 웹 브라우저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는 포트 80으로 전송되고,

메일 프로그램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는 포트 25로 전송됩니다.

이렇게 하면, 두 응용 프로그램은 서로 다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습니다.

 

 

포트의 중요성

포트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중요합니다.

데이터가 잘못된 목적지로 전송되는 것을 방지합니다.

컴퓨터 네트워크에서는 수많은 데이터 패킷들이 계속해서 주고받습니다.

이러한 패킷들이 올바른 목적지로 정확하게 도달하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우편물이 주소를 통해 올바른 수신인에게 도달하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인터넷의 표준을 유지합니다.

일반적으로 특정 포트 번호들은 특정한 서비스나 프로토콜에게 할당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HTTP는 포트 80을, HTTPS는 포트 443을 사용합니다. 

이런 규칙을 통해 전 세계의 컴퓨터 시스템은 표준화된 방법으로 서로 통신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인터넷은 전 세계적으로 안정적이고 일관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됩니다.

 

포트는 인터넷의 안전성을 보장하는 데에 필수적입니다.

시스템에서 포트를 관리하고 제어하는 것은 네트워크 보안의 중요한 부분입니다. 

예를 들어, 악성 소프트웨어나 해커로부터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해 불필요한 포트는 차단하고, 

필요한 포트만 열어두는 방식으로 네트워크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런 방식으로 포트 관리는 시스템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포트는 네트워크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컴퓨터공학 전공자라면 포트가 데이터 통신의 중심지라는 것을 잘 알고 계실 겁니다.

IT 종사자들도 포트가 네트워크 보안의 핵심 요소라는 사실이 익숙하겠죠.

일반인 분들도 포트는 컴퓨터가 인터넷에서 정보를 주고받을 때,

그 정보가 올바른 위치로 가도록 도와주는 역할임을 오늘 배우셨으리라 믿습니다.

포트를 이해하고 잘 활용하여, 인터넷을 더욱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